티스토리 뷰

알콜성 중독, 의존증 부터 얼굴이
빨개지는 홍당무 증상까지

술을 마신 후에도 얼굴색에 변화가 없는 남성은 소량의 음주가

심혈관 질환 위험을 줄이는데 어느정도 도움이 되지만

얼굴이 빨개지는 남성은 이런 효과가 전혀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충남의대 가정의학교실 김종성 교수팀은 병원에서 건강 검진을 받은

30세 이상의 성인 남성 1천817명을 대상으로 평소의 음주 습관과

안면홍조 여부,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도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뉴스를 통해 밝혀진 바 있습니다


조사 대상자 중 음주 후 얼굴이 빨개지는 남성은 662명, 얼굴색에 변화가

없는 남성은 872명이였으며 나머지 283명은 평소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들이였습니다

연구팀은 국제 표준 잔(1잔은 알코올 14g)으로 주당 4잔 이하(약 소주 1병에 해당)의

음주 습관을 가지는 경우를 기준으로 향후 10년 내 중등도 이상의 심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을 비교했는데, 이 결과 음주 후 얼굴이 빨개지지 않는 사람들은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10년 이내에 심혈관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절반 수준(비교위험도 0.5배)로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음주 후 얼굴이 빨개지는 남성은 같은 양의 술을 마셔도 술을 마시지 않는

남성들과 비교할 때 심혈관 질환 위험에도 차이가 없는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의료진은 음주 후 안면 홍조가 없는 사람은 소량의 음주가 심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과

관려해 득이 될 수도 있지만, 음주 후 안면 홍조를 보이는 사람에서는 심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과 관련해 득이 없음을 암시하는 연구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보통 술을 마신 후 얼굴이 빨개지는 것을 몸속으로 들어온 술이 알코올 탈수소효소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로 바뀌어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여러 독성

반응 떄문입니다 유전적으로 알코올 탈수소효소의 활성도가 지나치게 높은 사람들은

술을 조금만 마셔도 금방 체내에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생성되어 알코올로 인한

독성 반응이 더 심하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알코올 의존이나 알코올 남용으로도 표현되는 알코올 중독

여기서 알코올이라 함은 마실 수 있는 에탄올을 의미하며,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널리 퍼진 질병입니다 술은 옛날부터 인간 관계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었으나, 마약으로 악명이

높습니다 한국은 알코올 중독자 숫자가 2백만 명이며, 한국 남성 중 25%는 알코올 중독을 경험합니다

흔히 알고 있는 술주정이 알코올 중독 증상입니다


우리 뇌에는 오피오이드 수용체라는 부분이 있는데, 술을 마시면 그 과정에서 발생한

엔도르핀이 오피오이드 수용체와 결합해 사람에게 쾌감을 느끼게 합니다 술을 더 많이

마실수록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수용량이 증가하고 결국 같은 정도의 쾌감을 경함하기

위해서 더 많은 양의 술을 마시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술이 없이는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알코올 의존이 심해지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알코올 중독을 나타내는 사람들은 개인적 원인도 있지만, 환경적 요인이 더 크다고 합니다

술을 즐기는 집안이라거나, 술을 권하는 대학이나 회사에 들어간 경우같이 외부 환경에 의해서

알코올을 접하고 중독이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실제로 우울증, 강박증, 반사회성 성격장애, 정신분열증, 양극성 장애 같은 중증 정신 질환

환자들이 알코올 중독자인 경우도 상당히 많습니다

댓글